전체 글20 삶에 관한 단 하나의 진실, 결코 뜻대로 흘러가지 않는다는 것 우리는 모두 적당히 부족하고 적당히 괜찮은 사람이다. 내가 나에 대한 테두리를 넓게 쳐 줄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어떤 면에선 출중하고 어떤 면에선 부족합니다. 어떨 땐 타인과 살갑게 지내고 싶어 안달하다가도 갑자기 거리를 두고 싶어집니다. 가끔은 자존감이 하늘을 찌르다가 갑자기 땅 밑으로 푹 꺼집니다. 이렇게 모순덩어리인 나 자신을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인정하면 타인의 말과 행동도 "그럴 수 있지 뭐"하고 받아들이게 됩니다. 그런 면이 있는 게 사실이니까요. 불필요하게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담백하게 이해됩니다. 그들은 도움을 요청할 때도 스스럼이 없습니다. 자기에게 있는 부족한 점을 객관적으로 인지하고 있기에 그 부분에 관해 정확히 도움을 요청합니다. 그것이 자신의 취약함을 드러내는.. 2022. 12. 4. 우리 마음에는 상반되는 2가지 욕구 난공불락 우리 마음에는 상반되는 2가지 욕구가 살고 있다. 온전한 나로 존재하고 싶으면서도 동시에 타인과의 관계에서 의미를 찾고자 하는 것. 심리학에서는 이것을 독립과 의존의 문제로 바라봅니다. 그런데 개인주의가 득세하는 현실에서 사람들은 독립은 좋은 것으로, 의존은 나쁜 것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고 싶습니다. 의존은 정말 나쁘기만 할까요? 이 세상 그 누구도 다른 사람들의 손길을 떠나서 홀로 완벽하게 독립적인 상태로 살아갈 수는 없습니다. 아기를 생각해 보세요. 무력 그 자체인 아기는 양육자의 헌신적인 돌봄을 통해서 생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다 자란 어른이 되어도 달라지지 않습니다. 개인은 언제나 부족한 면이 많고, 따라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얻어 살아.. 2022. 12. 4. 홀로서기 3가지 의미 사람들이 의외로 모르는 홀로서기 3가지 의미 자주 오해하는 홀로서기의 진짜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통제할 수 있는 일과 통제 불가능한 일을 구분하는 능력입니다. 타인의 마음, 세상 지나간 날 등은 내 힘으로 어쩔 수 없는 통제 불가능한 일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집착을 거두는 게 좋습니다. 반면 내 마음은 통제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유한한 시간관 에너지를 통제할 수 있는 내 마음에 두는 것이 바로 홀로서기입니다. 둘째, 내 마음을 잘 알고 다루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홀로서기입니다. 우리는 모두 저마다의 안경을 쓰고 세상을 바라봅니다. ' 인정받고 사랑받고 성공하면 행복해질 것이다'라는 신념도 내가 쓴 안경을 통해 바라본 세상에 관한 이야기일 뿐입니다. 그런데 자기가 안경을 쓴 줄 모른 채 그것을 .. 2022. 11. 28. 독 홀의 일 - 독립, 홀로서기 독립, 독 홀의 일 우리가 흔히 이야기화하는 어른의 조건입니다. 경제적으로 심리적으로 홀로 설 수 있을 때 우리는 그들 온전한 성인으로 인정합니다. 또 그런 사람으로 자라기 위해 노력하고요. 독립을 어른으로 성장하기 위해 당연히 거쳐야 하는 필수 과제로 여기지요. 하지만 임상 심리학자로서는 홀로서기가 말처럼 쉽지 않은 과제임을 자주 깨닫게 됩니다. 나이가 찼다고 해서, 경제적으로 풍요롭다고 해서, 심리적으로 독립적인 사람인 것은 아닙니다. 겉으로 일도 잘하고 회사 생활도 원만하고, 대인 관계도 좋아 보이는 등 멀쩡해 보이는 사람도 그 속을 들여다보면 전부 힘들고 외롭다고 말합니다. 홀로 설 수 없어서 흔들리는 마음을 자꾸만 어딘가에 기대려고 합니다. 하지만 그런 의존성 때문에 일상은 더욱 괴로워지고 말지.. 2022. 11. 27. 이전 1 2 3 4 5 다음